경복궁
2009.5.25
고궁산책에 나섰다.
경복궁,,,,,,,,,,,광화문에 들어서니 이순신장군의 동상과 세종문화회관이 보인다.
얼마 안있어서 광장이 된다고 하는 이곳을 지나서 경복궁을 향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역성혁명(易姓革命)으로 조선을 세운 이성계(李成桂)와 그 지지자들은 고려의 서울인 개경(開京)으로부터 도읍을 한양성(漢陽城)으로 옮겨 신도(新都) 경영에 착수하는 동시에 궁궐의 조성도 착수하였다.
휴일의 고궁.
날씨가 무덥기만하다.
5월인데 ......경복궁 뒷편에 있는 민속박물관은 2008.5.1부터 무료라고 한다.
[국립민속 박물관]
창경궁
1484년(성종 15) 당시 생존하였던 세 왕후(세조·덕종\·예종)의 거처를 위해 옛 수강궁 터에 지은 것으로, 이 때 지은 집이 명정전·문정전\·수녕전·환경전\·경춘전·인양전\·통명전과 양화당·여휘당 및 사성각 등이다.
세계문화유산
종묘
1985년 1월 8일 국보 제227호로 지정되었다. 종묘는 조선 역대 국왕과 그 비(妃)의 신위(神位)를 모신 곳이며, 정전은 종묘의 중심 건물로 영녕전과 구분하여 태묘(太廟)라 부르기도 한다.
① 정전 : 정면 19칸, 측면 4칸, 맞배지붕, 일출목(一出目) 이익공(二翼工) 집이다. 1395년(태조 4)에 준공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1608년(광해군 즉위년)에 제1∼11실을 완공한 이래 1726년(영조 2)에 제12∼15실, 1836년(헌종 2)에 제16·17실, 그리고 1870년(고종 7)에 제18·19실을 이어서 증축하여, 한국에서 가장 긴 목조건물이 되었다. 여기에 모신 신위는 제1실의 태조를 비롯하여 태종 ·세종 ·세조 ·성종 ·중종 ·선조 ·인조 ·효종 ·현종 ·숙종 ·영조 ·정조 ·순조 ·문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 등 19왕과 그의 비인데, 이곳에 모시지 않은 왕의 신위는 이 건물 서쪽에 있는 영녕전(永寧殿:보물 821)에 봉안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