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輝 2012. 11. 9. 17:21

창덕궁의 가을

 

2012.11.9 금, 오후 2시 30분

 

임진왜란  때 불탄 창덕궁을 재건한  왕이 광해군이다.
1608년에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면서 창덕궁도 새롭게 문을 열었고 조선의 정궁 역할을 하게 됐다.

창덕궁은 태종 5년인 1405년에 경복궁의 이궁으로 지어진 궁궐이다.

임진왜란 때 경복궁과 창덕궁 등이 소실됐으나 광해군은 창덕궁을 재건했다.

창덕궁은 조선의 5대 궁궐(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중 가장 오랜 기간 왕들이 거쳐했던 곳이기도 하다.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거대한 회화나무 네그루가 서 있다.

나무의 수령은 창덕궁에 따르면 400년정도 된다는 것이다. 

금천교를 건너 '왕에게 바른 말을 아뢰어 국정을 올바로 이끌어 간다'는 뜻이 깃든 진선문을 지나면 왼쪽으로 창덕궁 정전인 인정전이 보인다.

그리고  대조전, 희우루, 낙선재를 지나 비밀의 정원,후원으로 이어진다.

 .

.

.

 

창덕궁과 창경궁의 가을은 뭐랄까.

참으로 옛 왕비의 모습처럼 아름답고 매혹적이다.

 

가장 아름다운 여인네들을 궁녀로 뽑아 평생동안 궁궐 안에 가두어 놓고 살았으니

그녀들의 한숨과 외로움에 가을 단풍은 더 처절하게 물들어 갔을 듯싶다.  

 

이때까지 가을 단풍의 절정일 때 고궁을 가 본 적이 없었으니 한스럽기 조차하다.

내가 즐겨가는 도쿄의 신주쿠 쿄엥과는 다른 모습의  아름다운 단풍을 보여 주는 것 같다.

 

고즈녁한 고궁의 가을.

현란한 단풍에 홀려서,

아름다운 옛 고궁의 화려한 모습에 홀려서 몇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 듯 하다.

 

산위에는  낙엽이 뒹굴어 이제 가을이 다 간 줄 알았는데 고궁엔 찬란한 가을이 내려 앉아 있었다.

 

저토록 아름다운 단풍도 얼마 안 있으면 가을 찬 바람에 쉬이 떨어지는 낙엽이 되는 것처럼

아리따웠던 궁녀들도 젊음을 잃고 왕의 눈길조차 한번 받아 보지 못한 채 시들어 갔을 게다.

 

궁녀는 아니지만 동호회 회원의 아리따운 여인네들의 모습도 사진 속에 담아 봤다.

역시 사진에는 젊은 여인네들의 모습이 빛나 보인다.

 

종묘도 그렇지만 창덕궁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창덕궁 입장료 3000원 창경궁 입장료 1000원이 아깝지 않은 서울의 명소.

겨울엔 하얀 눈이 쌓여 아름답고 봄에는 꽃피어 아름다운 아름다운 우리의 문화 유산에 강추!!!  

 

 

 

 

 

 

 

 

 

 

 

 

 

 

 

 

 

 

 

 

 

 

 

 

 

 

 

 

 

 

 

 

 

 

 

 

 

 

 

 

 

 

 

 

 

 

 

 

 

 

 

 

 

 

 

 

 

 

 

 

 

 

 

 

 

 

 

 

 

 

 

 

 

 

 

 

 

 

 

 

 

 

 

 

 

 

 

 

 

 

 

 

 

 

 

 

 

 

 

 

 

 

 

 

 

 

 

 

 

 

 

 

 

 

 

 

 

 

 

 

 

 

 

 

 

 

 

 

 

 

 

 

 

 

 

 

 

 

 

 

 

 

 

 

 

 

 

 

 

 

 

 

 

 

 

 

 

 

 

 

 

 

 

 

 

 

 

 

 

 

 

 

 

 

 

 

 

 

 

 

 

 

 

 

 

 

 

 

 

 

 

 

 

 

 

 

 

 

 

 

 

 

 

 

 

 

 

 

 

 

 

 

 

 

 

 

 

 

 

 

 

 

 

 

 

 

 

 

 

 

 

 

 

 

 

 

 

 

 

 

 

 

 

 

 

 

 

 

 

 

 

 

 

 

 

 

 

 

 

 

 

 

 

 

 

 

 

 

 

 

 

 

 

 

 

 

 

가는 길....종3에서 하차.혹은 안국역에서 하차해서 도보 10여분

 

 

댓글수0